![]() |
김창길 교수
|
분야 |
기타 |
---|---|
단과대학 |
농업생명과학대학 |
학과(부) |
원예과학과 |
전공분야 |
식물조직배양, 원예생명공학 |
사업화가능아이템 |
|
기술협력 및 자문분야 |
저탄소 녹색기술개발 및 실용화 분야, 원예시설의 자동화 생산 분야, 분자육종에 기반한 복합 기능성 원예작물 생산기술 분야 |
키워드 |
식물조직배양, 원예생명공학 |
연구실위치 |
농생대 1호관 325호 |
연구실소개 |
1. 원예작물의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한 기능성 신품종 육성 2. 친환경 에너지 절감기술 및 바이오대체 에너지 개발 3. 식물생산공장 시스템 개발 및 산업화 기술 |
졸업년도 | 학교 | 전공 | 학위 |
---|---|---|---|
1988 | 경북대학교 | 원예학과 | 학사 |
1990 | 경북대학교 | 원예학과 | 석사 |
1997 | 경북대학교 | 원예학과 | 박사 |
근무처 | 부서 | 근무기간 | 업무내용 |
---|---|---|---|
경북농업기술원 | 1993.04~1998.08 | 농업연구사 | |
경북농업기술원 | 1998.10~현재 | 기술전문위원 | |
경북대학교 | 생태환경대학/농업생명과학대학 | 1998.08~현재 | 전임감사-교수 |
미국 Texas A&M대학교 | 2001.02~2002.08 | Post-Doc | |
농촌진흥청 | 원예연구소 | 2004.02~2008.03 | 겸임연구관 |
경북대학교 | Agro-Bio누리사업단 | 2005.06~2009.05 | 부단장 |
경북대학교 | 2008.08~2010.02 | 연구협력처장 | |
경북농업기술원 | 겸임연구관 | ||
경북화훼종묘산학연협력단 | 2010.01~현재 | 기술전문위원 | |
한국원예학회/ 식물생명공학회/ 화훼산업육성협회 | 이사 | ||
화훼연구지 | 2011.01~2012.12 | 편집위원 | |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 2011.03~현재 | 이사 | |
칠곡군농업기술센터 | 2012.01~현재 | 지역협의체 위원 |
연구실적 | 지원기관 | 수행연도 |
---|---|---|
저온내성의 적색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도솔’ 육성
|
화훼연구 | 2012 |
식물관찰중심의 원예활동이 취학 전 아동의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 2012 |
무스카리 ‘Early Giant’ 잎 절편 유래 캘루스 배양을 통한 고빈도 체세포배 발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2012 |
ISSR 마커를 이용한 달래와 산달래의 분류
|
Kor. J. Hort. Sci. Technol. | 2011 |
오감자극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아동의 집중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 2011 |
황색 절화용 다수성 거베라 신품종 ‘선묘’ 육성
|
원예과학기술지 | 2011 |
MS 배지내 무기물 농도, 당 농도 및 광 조건이 무스카리의 기내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
|
화훼연구 | 2011 |
Expression of an Arabidopsis Ca(2+)/H(+) antiporter CAX1 variant in petunia enhances cadmium tolerance and accumulation
|
JOURNAL OF PLANT PHYSIOLOGY | 2011 |
Intraspecifi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Korean Calanth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2010 |
토마토에서 칼슘수송체와 칼슘결합단백질 공동발현에 의한 칼슘결핍유사증상의 완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2010 |
무스카리(Muscari armeniacum ‘Early Giant) 엽절편 조직으로부터 신초형성과 체세포 배발생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
화훼연구 | 2010 |
한국 달래의 자생 특성
|
한국육종학회지 | 2010 |
In vitro regeneration from cotyledon explants in figleaf gourd (Cucurbita ficifolia Bouch,), a rootstock for Cucurbitaceae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2010 |
한국 산달래의 자생 특성
|
생명과학회지 | 2010 |
Modest calcium increase in tomatoes expressing a variant of Arabidopsis cation/H+ antiporter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2010 |
분야명 | 핵심기술 | 이미지 |
---|---|---|
조직배양기술 | ||
형질전환기술 | ||
PCR 및 Southern blot analysis |
장비/소프트웨어명 | 내용 |
---|---|
Auto Clave | |
Clean bench | |
저온냉동고 | |
화학천칭 | |
식물생장상 | |
저온원심분리기 | |
실체현미경, | |
건조기 | |
식물생장조절실 | |
전기영동장치 | |
PCR 최적화 제품 | |
초저온냉동고 | |
인큐베이터, | |
진탕배양기 | |
형광현미경 |
특허명 | 대표발명가 | 보유연도 | 이전희망 |
---|---|---|---|
고 함량 레바우디오사이드-에이를 함유한 신품종 스테비아 식물 및 그 육종방법 |
2011 | ||
인삼과립차 |
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