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우 교수
|
|
분야 |
나노소재 |
---|---|
단과대학 |
공과대학 |
학과(부) |
응용화학과 |
전공분야 |
유기 나노 입자의 합성 및 응용 |
사업화가능아이템 |
* 수성 폴리우레탄계 나노입자 : 목재, 스틸, 가죽, 섬유 및 플라스틱용 필름제, 코팅제, 접착제, 바인더 등 * 나노 및 마이크론 크기의 표준 입자의 합성 및 응용: 표준시료, 컬럼용 충진제, 진단시약 및 항원-항체반응, 촉매 반응용 입자 * 마이크로 캡슐: 의료용, 생활용품, 농약 및 기타 활성 물질의 캡슐화 |
기술협력 및 자문분야 |
* 기능성 아크릴, 비닐, 우레탄계 수용성(수분산성) 수지 개발 및 연구 분야 * 전기(Electro-) 및 광(photo-)발광(luminescence) 고분자 나노 구조체 연구 * 나노 및 마이크로 캡슐화 기술을 통한 의공학 소재 개발 * 기타 불균일계 중합 공정 시스템 연구 및 개발 |
키워드 |
Nanoparticle, Microencapsulation, Polyurethane, Emulsion, Emulsion polymerization, Heterogeneous polymerization |
연구실위치 |
공대 1호관 307호 |
연구실소개 |
기능성 나노소재 연구실(이하 FNL)은 2005년도 2월에 설립되었으며, 공대 1호관 215-217호에 실험실과 사무실을 두고 있습니다. FNL은 고부가가치의 유-무기 나노 소재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불균일상(heterogeneous phase) 소재의 신합성 연구 및 나노-메조 스케일(nano-meso scale)의 구조 제어를 통한 기능성 소재의 합성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연구 분야로는 나노 구조체의 입도 및 모폴로지(morphology) 제어, 나노 구조체의 표면 개빌, 유-무기 하이브리드(hybrid) 소재의 개발, 기능성 물질의 나노 캡슐화, BT 및 IT 소재용 원천 소재의 개발 및 신합성 연구를 들 수 있습니다.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기업과 유관 기관과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하며, 나노 소재 관련 인력 양성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학생, 기업인, 연구원분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협력 연구분야 ① 나노스케일의 표준 (standard) 입자의 개발 및 평가 ② 전자재료용 접착제 및 단분산성 (monodisperse) 고분자 나노입자의 개발 ③ 기능성 코팅 소재의 개발 ④ 광중합(UV irradiation-assisted polymerization)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 및 특성 평가 ⑤ 활성 물질을 함유한 캡슐 소재 및 공정 개발 ⑥ 템플레이트 기법 (templating technique)을 활용한 나노 구조체의 개발 및 특성 평가 |
졸업년도 | 학교 | 전공 | 학위 |
---|---|---|---|
1995 | 연세대학교 | 화학공학 | 공학사 |
1997 | 연세대학교 | 화학공학 | 공학석사 |
2001 | 연세대학교 | 화학공학 | 공학박사 |
근무처 | 부서 | 근무기간 | 업무내용 |
---|---|---|---|
연세대학교 | 나노과학기술연구단 | 2001-2002 | 박사후 연구과정 |
호주 시드니대학 | KCPC | 2002-2003 | Post-doc |
연세대학교 | 나노과학기술연구단 | 2003-2005 | 연구 교수 |
연구실적 | 지원기관 | 수행연도 |
---|---|---|
열전도성 매트릭스 구조 제어를 통한 열저장 나노캡슐의 특성 연구 |
산업자원부 | 2009 |
강판 코팅용 항균성 UV 코팅액 연구 |
포스코 | 2009 |
UV 코팅 강판의 내식성 향상을 위한 lamellar형 무기 나노 소재 연구 |
포스코 | 2008 |
생체적합성 고분자 나노캡슐공정 개발 |
산업자원부 | 2007 |
Langmuir-Blodgett(LB)법에 의한 형상 기억특성을 갖는 투명 전도성 필름의 합성 |
경북대학교 | 2007 |
실리카/폴리우레탄계 나노복합체 합성 및 코팅물성 향상 기술 확립 |
포스코 | 2007 |
분야명 | 핵심기술 | 이미지 |
---|---|---|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기술 |
적외선 및 자외선 센서용 탄소 나노튜브 복합체 분산액 | 091224_115013 |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기술 |
투명전도성필름 합성 기술 | 091224_115054 |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
ROP 및 ATRP 중합법을 이용한 단분산 블록공중합체 합성 | 091224_115132 |
단분산성 lipid 및 고분자 vesicle |
Microfluidic chip을 이용한 단분산성 마이크로 입자(hollow, vesicle, liposome)합성 기술 | 091224_115205 |
장비/소프트웨어명 | 내용 |
---|---|
DLS/Zeta potential analyzer, UV-visible spectrophotometer, POM, GPC, Viscometer, O2 Plasma등 | 경북대학교 |
특허명 | 대표발명가 | 보유연도 | 이전희망 |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도성 투명 필름(출원: 10-2008-0046401) |
정인우 | Y | |
안정한 탄소나노튜브의 고분자 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등록: 10-0784173 |
정인우 | 20071204 | 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