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승연 교수
|
|
분야 |
BIM, 디지털 건축 |
---|---|
단과대학 |
공과대학 |
학과(부) |
건축토목공학부 |
전공분야 |
건축계획 및 설계, BIM, 디지털 건축 |
사업화가능아이템 |
①BIM 기술의 건축 응용 ②스마트 3차원 및 건축설계 API ③BIM/GIS 융합기술 ④Digital Fabrication ⑤AR기술의 건축응용 |
기술협력 및 자문분야 |
건축계획/설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컨버젼스 기반 건축 디자인 |
키워드 |
건축계획/설계, BIM, Digital Fabrication, GIS, 디지털 건축 |
연구실위치 |
공대 2호관 323호 |
연구실소개 |
현재 전 세계적 건축의 경향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융·복합 기술의 개발로 컴퓨터를 활용한 건축물의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운영 및 관리 등 건축물 전 생애주기 전반에 대한 통합 건축디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지속가능한 건축(Sustainable Architecture)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으며, 저탄소 녹생성장을 위한 연구와 실무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컴퓨터가 건축디자인 분야에서 디자이너의 창작행위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왔다면, 앞으로는 건축디자인 단계에서 다각도로 컴퓨터를 활용하여 디테일 해석 및 개발, 상호 운영성 증대, 생산 효율성 증대, 시간과 비용의 최소화를 통한 건축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Design + Technology”로 나타나는 현대건축은 램 쿨하스, 프랭크 게리, 피터 아이젠만, 자하 하디드 등의 스타 건축가에 의하여 비정형 건축을 필두로 한 새로운 건축설계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건축물의 거대화 및 복잡화,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 등에 따라 기존의 설계, 시공 방식의 한계 극복을 위하여 ‘BIM’ + ’CAAD’ + ’GREEN’으로 구현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BIM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설계기술(Convergence Design of Architecture) 개발과 Green Building Design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BIM과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융·복합기술을 활용한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와 BIM기반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술을 건축 계획 및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활용하여Architectural Design Creativity & Design Quality 향상을 추구하는 “성능 기반 건축(Performance Based Architecture)”이 Digital Architectural Design LAB.의 비전입니다. |
졸업년도 | 학교 | 전공 | 학위 |
---|---|---|---|
1994 |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 건축공학 | 공학사 |
1998 |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 건축계획 | 공학석사 |
2004 | Technische University Muenchen(독일뮌헨공대) | 디지털건축(BIM) 및 건축설계 | 공학박사 |
근무처 | 부서 | 근무기간 | 업무내용 |
---|---|---|---|
독일 뮌헨공대 | 건축디자인 연구실 | 2000-2004 | 연구조교 |
독일 뮌헨 F.H.Z Architekten 건축사무실 | 설계부 | 2003-2004 | 설계 |
경북대학교 | 건축토목공학부 | 2005-현재 | 교수 |
(사)빌딩스마트협회 | 이사회 | 2010-현재 | 운영이사 |
(사)한국건설IT융합학회 | 이사회 | 2011-현재 | 총무 이사 및 운영위원 |
(사)한국주거학회 | 이사회 | 2012-현재 | 참여이사 |
경상북도 | 지방건설기술심의 위원회 | 2013-현재 | 심의위원 |
대구광역시 | 건설본부 설계자문 위원회 | 2013-현재 | 자문위원 |
한국건축가협회 | 대구경북건축가회 | 2013-현재 | 건축평론위원장 |
대한건축학회 | 대구경북지회 | 2013-현재 | 기획이사 |
연구실적 | 지원기관 | 수행연도 |
---|---|---|
건축 디자인 규칙의 자동화를 위한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변경)건축 디자인 규칙의 자동화를 위한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경북대학교 | 2005 - 2006 |
모듈러 건축물의 활성화를 위한오피스 및 복합시설물 디자인 개발 |
㈜포스코 | 2007 - 2008 |
객체 지향적 디자인 지원을 위한 교육용 3차원 설계 툴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07 - 2009 |
건축설계 통합화를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기초연구 |
㈜동부건설 | 2007 - 2008 |
독도천연보고구역 조정 및 독도마을 조성 타당성 조사와 기본구상 |
경상북도청 | 2008 - 2009 |
AR(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어포던스 기반 미래주거 공간 시퀀스 적용에 관한 연구 |
(재)동일문화장학재단 | 2009 - 2010 |
독도현장관리사무소 설치 기초조사 및 기본계획 연구 |
경상북도청 | 2009 - 2009 |
컨버젼스 기술 기반 증강현실의 건축디자인 적용 방안의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09 - 2011 |
미래지향적 건축디자인 프로세스 지원을 위한 컨버젼스 기반 디자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09 - 2012 |
초고층 개방형 BIM정보환경 기술 개발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 2009 - 2012 |
건설품질 향상을 위한 한국형 BIM 실무화 설계 기술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1 - 2014 |
그린건축을 위한 개방형 BIM기반 에너지 저감형 건축설계 기법 개발 |
경북대학교 | 2012 - 2013 |
개방형 BIM기반 저탄소 설계 및 거대구조물 유지관리 건설기술 개발 |
한국연구재단 | 2012 - 2015 |
인터랙티브건축디자인지원을위한마이크로컨트롤기반외피구축에관한연구 |
경북대학교 | 2013 - 2015 |
분야명 | 핵심기술 | 이미지 |
---|---|---|
BIM |
최근 건설 산업에서 화두로 떠오르는 기술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축설계 단계에서 2차원 설계의 한계를 극복한 객체지향 3차원 설계방법으로 건설산업 전반에 걸쳐 관련된 모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연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건축물을 현실에서 관찰하는 것 이상의 현실감을 발생시키고 시뮬레이션하여 공사비, 공사기간, 설계상 오류, 시공성 검토 등의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경제성이 탁월한 건축기술이다. 이러한 맥락으로 본 연구실에서는 BIM을 통한 건설 생산 전 과정에서의 건설품질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단계에서 필요한 BIM 실무화 설계 기술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최근 에너지 분야와 BIM에서 차세대 핵심 컨버젼스 기술이라 할 수 있는 Green BIM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 기술은 ‘저탄소 녹색성장’ 과도 부합하는 기술이다. Green BIM은 기존의 2차원적 패러다임으로 계산 할 수 없었던 에너지 소비량, 부하량, 일조량, 일영분석, 바람길 등의 계산을 3차원 기반의 BIM을 통해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 090415_181818 |
Digital Fabrication |
최근 건축물의 디자인을 살펴보면 사각형으로 대표되어지던 정형적인 건축물외에 자유곡면과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진 비정형의 건축물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것은 복잡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외피(facade)를 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제작 가능한 크기로 외피를 구획하는 기술, 설계안의 곡면 형태 및 크기를 정확하게 제작하는 기술, 재료의 물성을 고려하여 오류가 없도록 시공하는 기술, 제작과 시공이 설계대로 완료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기술이 비정형 외피의 품질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구현은 디지털 툴에 의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제 구축에 관해서는 기술력이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비용 증가, 품질 저하와 같은 시행착오를 겪거나 해외 기술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실에서는 Digital Fabrication의 학술적 연구자료 및 해외의 기술동향 등을 분석하고, 패널의 제작·분류·곡면 최적화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패널의 휨 정도를 이용한 곡면최적화 알고리즘을 수립하여 외피 패널을 경제적으로 제작하는 기술 개발 중에 있다. 이를 통해 Mock-up과정을 거쳐 실제 제작(Digital Fabrication)을 위한 설계안과 시공결과물의 품질 검토가 가능할 것이다. | |
AR(Augmented Reality) |
증강현실은 가상현실 기술의 확장판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해 만든 정보들을 사용자가 실제로 바라보는 현실세계에 투영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건설 중인 현장에서 완공된 구조물을 미리 볼 수 있으며 도로 공사 시 지하매설물의 종류와 위치를 굴착을 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증강현실을 시공단계에 실제 적용하는 연구가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시공의 단위적업이 가지는 증강현실의 이점분석, 강기둥 시공검사를 위한 증강현실 시스템, 증강현실을 이용한 현장에서의 시공법 시뮬레이션, 증강현실에 기반한 4D CAD 등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현재까지는 도면상의 설계도나 3D CAD를 이용한 2차원적인 설계도면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AR의 입체적인 설계도를 통해 사업 참여자 간의 불충분한 이해를 통해 발생하는 의견충돌을 줄일 수 있으며 구조물의 특성이나 시공 시 주의할 점들이 특별하게 표시되어 보다 확실한 건설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 기존의 평면적인 설계도면을 공간적으로 느낄 수 있으며 시설물의 완성된 상태를 기존의 2차원적인 조감도나 모형보다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실에서는 BIM과 AR의 각 시스템별 중요인자를 파악하고 공통인자들을 융합한 컨버젼스 기반 디자인 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연구과제를 진행하며 축적된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 |
GIS |
GIS란 지도 및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정보시스템이자 공간정보 기술로써 최근 BIM과의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국토교통부의 ‘국가 공간정보 표준화 연구’의 연구내용 중 일부일 뿐만 아니라, ISO/TC 211 Ad hoc group on GIS-BIM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 중이다. 이에 본 연구실은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을 선도하고자 GIS-BIM 전문가를 중심으로 공간정보 데이터 및 BIM 데이터의 구조체계를 파악하고 상호운용성 증진을 위한 개발/분석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GIS-BIM 융합에 있어 국가비전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개발 중에 있다. |
장비/소프트웨어명 | 내용 |
---|---|
HMD-AR |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시야 변화와 동일하게 컴퓨터가 동일한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게 되고 현실 공간상에 가상의 오브젝트 정보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혼합현실로 표현 할 수 있는 장치 |
BIM Software | 크게 3차원 객체기반의 파라메트릭 모델링 소프트웨어와 모델링된 건축물의 정보를 활용하는 소프트웨어로 구분 할 수 있다. BIM Software는 다차원 정보를 가진 컴퓨터 데이터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설계를 문서화하는 것뿐 아니라 새로운 시설물이나 재건축 시설물의 시공과 운영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목적이 있다. |
3D Printer | 입력된 설계도를 바탕으로 프린터에서 특수 고분자 물질이나 금속가루를 뿜어내 그 재료를 층층이 쌓은 후 자외선이나 레이저를 쏘아 재료를 굳혀 완제품을 만들어 내는 기계 |
Laser Cutter | 모델링된 3차원의 정보를 가진 형상을 레이저를 이용해 소재를 가공하는 기계 |
특허명 | 대표발명가 | 보유연도 | 이전희망 |
---|---|---|---|
건축 설계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추승연 | 2008.01 | × |
가시빈도분석을 이용한 지리정보 분석방법 |
추승연 | 2011.12 | × |
자동화된 불가시심도 분석을 이용한 지리정보 분석방법 |
추승연 | 2011.11 | × |
BIM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방법 |
추승연 | 2013.05 | × |